Intro.
[임상통계학]은 대학원 수업 ‘임상시험자료분석’ 강의를 듣고,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.
0.1 임상시험계획서(Protocol) 개괄
prelude
[임상시험자료분석] 수업과 그 교재 「신약개발에 필요한 임상통계학」은
‘임상시험계획서(Protocol)’를 읽어보지 않은 사람이 따라가기에 어려움이 있어
이를 함께 읽어보고 시작하기로 했는데, 이 문서는 보통 기밀로서 비공개가 원칙이나
드물게 공개되어있던 한 신약의 4상 임상시험계획서를 읽어볼 수 있었다.
이번 수업은 세세한 내용은 넘어가고
임상시험계획서가 어떤 문서인지, 그 큰 틀을 보고 감을 잡는 것에 목적이 있다.
임상시험계획서는 임상시험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작성해야 하며,
이 임상시험을 어떻게 수행하겠다는 세세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.
또 임상시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통계 분석을 어떻게 할지도 포함된다.
통계전문가는 통계 부분만 알면 되지않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
전체 흐름을 이해해야 통계 부분도 잘 이해할 수 있으며,
특히 임상시험계획서는 기본 중의 기본으로, 이를 모르고 임상시험을 안다고 할 수 없다.
표지
임상시험계획서 = CLINICAL STUDY PROTOCOL
Title: 임상시험 주제목(1줄) 및 설명(구체적)
Study Number / Version(Amendment) [업데이트] / Date
- Phase
- 예시는 4상 - 본 수업은 3상을 중심으로 하지만 3상은 매우 중한 기밀로서,
상대적으로 구하기가 어려움. 그래도 구조는 거의 비슷함.
- Test Drug: 시험약
Sponsoring Institution:
후원기관(어감 X), 임상시험 수행 주체, 의뢰자 (O)
1순위 = 제약회사, 2순위 = 대학(병원)- Chief Investigator: 연구책임자 - 소속과 이름, 전화번호
- Confidentiality Statement: 이 문서는 기밀이므로 permission없이 공개, 사용 불가.
Approval of Protocol Version / Amendment
2명의 서명 (임상시험에 대한 역할의 비중)
- 연구책임자(의학전문가) = 80%
- 통계전문가 = 20%
목차로 보는 구조
Introduction: 임상시험의 배경 소개
-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특정 질환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
-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특정 질환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
Study Objectives: 임상시험의 목적
- 예시는 주목적과 부목적 2가지를 설명
1) 시험약이 특정 질환자의 심혈관의 morbidity와 mortality를 줄여주는가?
2) 시험약이 특정 질환의 어떤 병으로의 변이를 막거나 지연시키는가?
- 예시는 주목적과 부목적 2가지를 설명
Investigators and Other Study Participants: 연구자와 참여자
Investigational Plan: 임상시험의 구체적인 설계와 계획
- 임상시험 참여 가/불 환자에 대한 Inclusion Criteria와 Exclusion Criteria
- 사용되는 신약, 위약에 대한 정보
- 임상시험 절차의 이해를 돕는 그림:
각 Visit 단계 - Inclusion/Exclusion Criteria 판단 이후
참여 가능한 환자 시험약/위약 여부 무작위배정 뒤 투약 ~ 방문 ~ 종료
Ethical and Legal Aspects: 윤리적, 법적 측면에 대한 지침과 승인 내역
통계전문가가 작성하는 부분
- Statistical Method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
- data의 형태(예시는 생존분석형 data) ~ 분석 방법
통계 분석의 자세한 내용은 Statistical Analysis Plan (SAP)이라는 별도 문서로,
임상시험계획서와 별개로 작성함.
통계전문가는 임상시험 이후의 데이터 분석만 하는 것이 아니라,
실험을 설계하며 적정한 환자 수를 결정하며 그 근거를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.
신약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환자 수를 확보하되,
환자 수가 너무 많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과 추가적인 문제(이후에 다룰 것)를 피해야 한다.당장은 중요하지 않은 부분
Adverse Events
Use of Data and Publication
Appendix…
- References
Glossary and Abbreviations
: 본문 직전에 수록된 용어 및 약어사전
의학전문가들은 약자를 주로 사용하므로 항상 앞에 약어들에 대한 설명을 수록. 익숙해질 필요가 있음.
그러나 수록된 단어들이 모두 의학용어인 것은 아님.